2018년 하반기 제23권 2호 편집 때부터 투고마감일과 발간일이 바뀝니다(제23권 1호 <편집규정> 제5조와 제14조 참조).
매년 4월 30일에 발간하는 각 권 1호의 원고마감일은 2월 말일이고, 매년 10월 31일에 발간하는 각 권 2호의 원고마감일은 8월 31일입니다.
2016년부터 모든 투고자께서는 한국인도학회의 온라인편집(JAMS) 사이트(https://jis.jams.or.kr/co/main/jmMain.kci)에서 회원가입 후, 정해진 양식과 절차에 따라 투고하셔야 합니다. 각 호 마감일 자정까지 JAMS 사이트에 정상적으로 투고가 완료된 원고만을 해당 호 편집을 위해 접수할 수 있습니다.
I. 원고 작성의 일반적 요령
1. <원고 분량과 파일 양식>가능한 한 원고 전체의 분량이 단독논문은 200자 원고지 150매, 공동논문은 250매를 넘지 않도록 작성하며, 분량을 초과할 경우 원고지 1매당 1,000원의 게재비를 별도로 납부한다. 외국인 필자를 제외하고는 한글과 영어 원고 모두 한글(hwp)문서로 작성하되, 한글문서로 작성하기 힘든 문자(데바나가리 등)를 사용한 원고는 MS워드문서로 작성할 수 있다.
2. <원고 구성> 한국인 필자가 투고하는 한글 및 외국어 원고는 한글제목과 목차, 국문요약, 주제어, 본문, 참고문헌, 영어제목, Abstract, Key Words 등을 모두 갖춰야 한다. 외국인 필자가 투고하는 외국어 원고는 한글제목, 국문요약, 주제어를 빼고, 영어제목, Contents, Abstract, Key Words, 본문, References 등을 갖춰야 한다.
3. <필자의 익명성> 논문 심사 때 필자의 익명성을 지키기 위해, 필자의 신원을 짐작할 수 있는 “졸고 OOO”, 혹은 “졸저 xxx” 등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4. <한글-한자 사용> 본문에서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꼭 필요한 한자는 괄호 안에 적는다.
예: “전(全) 인도”, “일체가 여여(如如)함”
5. <외래 용어> 외래 용어의 경우, 본문에서 맨 처음 나올 때 한글 번역어를 적고 괄호 안에 원어를 적은 후, 다음부터는 한글 번역어를 사용한다.
예: “종교공동체주의(communalism)”, “인교(Non Resident Indians)”
6. <외래어 한글 표기> 산스끄리뜨를 비롯한 인도어의 한글 표기는 아직 통일된 기준이 없는데, 가능한 한 현지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되 반드시 원고 전체에서 일관된 표기 방식을 사용한다.
7. <외국 인명과 지명> 외국 인명과 지명은 교육부의 외래어 표기법 기준을 참고하되, 가능한 한 현지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본문 중에 맨 처음 나올 때 한글로 발음을 적고 괄호 안에 원어를 적은 후, 다음부터는 한글 발음을 적는다.
예: “간디(Gandhi)”, “자와할랄 네루(Jawaharlal Nehru)”,
“뉴델리(New Delhi)”, “꼴까따(Kolkata)”, “첸나이(Chennai)”
8. <외국 기관, 단체 및 정당의 명칭> 외국 기관, 국제기관, 단체, 정당 등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번역어가 있으면 이를 사용한다(예 1). 그렇지 않을 경우, 본문 중에 맨 처음 나올 때 필자의 한글 번역어를 적고 괄호 안에 원어를 적은 후, 다음부터는 한글 번역어를 사용한다(예 2). 편의상 약어를 사용할 때는, 맨 처음 나올 때 괄호 안에 원어와 약어를 적은 후 다음부터 약어를 사용한다(예 3).
9. <출전 표시> 본문과 각주에서 인용한 자료의 출전을 표시할 때는 아래 II에 규정된 출전 표시 요령에 따라야 하며, 완전한 문헌정보는 <참고문헌>에 적는다.
II. 본문과 각주의 인용자료 출전 표시 요령
1. 본문과 각주에서 인용한 자료의 출전을 표시할 때는, 해당 부분의 괄호 안에 저자의 성(한글로 표기된 한국, 중국 등의 인명은 성명)과 출판연도, 쪽수 등의 정보만을 적는다. 형식은 아래의 예에 제시된 것처럼 (저자 출판연도, 쪽수)이며, 구체적인 경우들은 아래 3번의 사례들을 참조해서 작성한다.
예: “(박인도 1988, 27)”, “(Guha 1983, 55-57)”
2. 같은 문헌을 다시 언급하는 경우에도 1번과 같은 형식으로 표시하며, “같은 글”, “앞의 책”, “ibid.”, “op. cit.” 등의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3. 구체적인 출전 표시 사례들
III. 참고문헌 작성 요령
1. <참고문헌>은 본문이 끝난 후 쪽을 바꾸어 적는다. <참고문헌>에는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모든 자료의 문헌정보를 밝혀야 하며,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되지 않은 자료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2. 자료들은 한글 문헌, 로마자로 표기되는 인도-유럽어 문헌, 기타 언어 문헌(힌디, 산스끄리뜨, 일본어, 중국어 등) 순서에 따라 적는다. 원전자료를 별도로 적을 경우에는 2차자료에 앞서 적으며, 형식은 본 투고규정과 해당 학계에서 통용되는 방식을 절충한다. 웹사이트자료는 맨 뒤에 적는다.
3. 논문과 책을 별도로 구별하지 않고 한글 저자명은 가나다순으로, 로마자 저자명은 알파벳순으로, 기타 언어 저자명은 발음을 괄호 안에 부기하고 이를 가나다순으로 배열한다. 저자명은 성, 이름 순서로 적되, 로마자로 표기된 경우에는 성 다음에 쉼표를 찍어 구분한다.
4. 같은 저자의 여러 문헌은 출간된 연도순으로 배치하며, 같은 해에 발행된 문헌이 둘 이상일 경우에는 원고 본문에서 언급된 순서에 따라 발행연도 뒤에 a, b, c 등을 붙여 구분한다.
5. 문헌정보는 아래의 1) 일반적 원칙과 2) 구체적 사례들에 제시된 형식에 따라 작성한다.
1) 일반적 원칙
(1) 문헌정보에는 저자의 성명과 출판연도, 문헌의 제목 등이 들어가야만 한다. 저서의 경우에는 출판지와 출판사를 추가로 적는다.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학술지 이름과 권-호, 게재 쪽수 등을 추가로 적되, 출판지와 출판사는 적지 않는다. 편집된 책에 실린 논문은 편집자 성명과 출판연도, 책 제목, 출판지와 출판사 등을 추가로 적는다.
(2) 한글로 번역된 책이나 논문은 한글로 표기된 원저자의 성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배열하며, 원래의 출판연도를 밝히고자 할 때는 번역본 출판연도 뒤의 괄호 안에 적는다. 원저의 문헌정보를 모두 밝히고자 할 때는 번역본의 문헌정보 뒤에 괄호를 치고 적는다.
(3) 한글 및 외국어 논문과 기사의 제목은 겹따옴표로 묶는다(예 1). 한글, 일본어, 중국어 저서와 학술지, 신문, 잡지 등의 제목은 꺽쇠로 묶고(예 2), 인도-유럽어 저서와 학술지, 신문, 잡지 등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예 3).
(4) 쪽수를 적을 때는 숫자만 적는다.
2) 구체적 사례들
김불교 1992. “불교를 통한 인도 문화의 영향: 고려시대 전반기를 중심으로”, 집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Bhatia, Bela 2000. “The Naxalite Movement in Central Bihar”, Unpublished Ph. D. Thesis, Faculty of Social and Political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김불교 2003. “해상무역로를 통한 인도 불교의 해외 전파”, 『계간 종교문화』 봄호, 101-122.
박인도 2007. “경제자유화 정책 이후 인도 사회의 변화 양상”, 『인도연구』 제12권 1호, 137-164.
Brara, Rita 1994. “Kinship and the Political Order”, Contributions to Indian Sociology (New Series) 28(2), 203-241.
Khare, Harish 2003. “After Gujarat”, Seminar 521, 30-33.
서남아 2005. “인도 경제개혁의 교훈”, 『중앙일보』 2005/04/08, 5.
Beteille, Andre 2000. “Will the BJP-led Coalition Hold?”, The Times of India 2000/04/22, 23.
『중앙일보』 2005/04/08. “인도 경제성장의 명과 암”.
The Times of India 2000/04/22. “BJP and Hindu Fundamentalism”, The Times of India.
Shastri, S. D., ed., 1968. Pramāṇavārttika of Acharya of Dharmakīrti with the Commentary Vṛtti of Acharya Manorathanandin. Varanasi: Bauddha Bharati.
Steinkellner, Ernst, ed., 2007. Dharmakīrti’s Pramāṇaviniścaya (Chapters 1 and 2). Beijing-Vienna: China Tibetology Publishing House;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Cs Agnivesa’s Caraka Saṃhitā Vol. I. 1983 (trans. by Sharma, Ram Karan & Bhagwan Dash). Varanasi: Chowkhamba Sanskrit Series Office.
PVin Dharmakīrti’s Pramāṇaviniścaya. 2007 (ed. by Steinkellner, Ernst).
TSP Kamalaśila’s Tattvasaṅgrahapañjikā. 1968 (ed. by Shastri, S. D.).
다음(Daum) 국어사전 http://dic.daum.net/index.do?dic=kor
인도대법원 판례 http://judis.nic.in/supremecourt/chejudis.asp (2016/08/30 접속)
Ministry of Human Resource Deelopment 2014. “Indi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Government of India 홈페이지. http://mhrd.gov.in/statist. (2016/04/08 접속)